토기·옛 지도에 심취한 박물관 4월 관람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14-05-22 22:17 조회13,028회 댓글0건관련링크
본문
공부하는 서강가족 모임 ‘국립중앙박물관 관람’ 행사가 4월 16일 열렸다. 올 들어 두 번째인 4월 관람 주제는 ‘흙과 함께 한 한국사’였다. 모임을 이끄는 최병찬(73 사학) 동문을 비롯해 동문과 가족 20여명이 참석했다.
참석자들은 오후 2시 40분 박물관 로비에 모여 △흙으로 빚어진 토기와 신앙 △조선시대 지리학과 대동여지도 등에 대해 전문가가 해설하는 현장강의를 들었다. 5시부터는 박물관 3층 전통찻집에 모여 담소하며 경품을 추첨했다.
첫째 강의는 질문과 답변이 오가는 가운데 흥미진진하게 진행했다. 동문들은 빗살무늬가 한반도에서 동일하게 나타나는지, 빗살무늬가 흉내 내거나 표현하는 건 무엇인지 등을 질문했다. 이어 △3세기 오리모양 토기 △흙으로 제작해 불에 구운 불상(북한 원효리 소조불) △백제 기와 △신라의 토우(土偶) 붙은 항아리와 말 탄 사람 토기(기마인물형 토기) △고려청자와 칠보무늬 향로 △조선의 청화백자, 철화백자, 달항아리 등을 감상하고 탐구했다.
둘째 강의는 박물관에서 근무하는 장상훈(87 사학) 학예사가 맡아 조선시대 지도에 관해 상세하게 설명했다. 장 동문은 “가장 오래된 지도인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1402년)는 아시아, 아프리카, 유럽을 포함한 구대륙에서 조선의 위치를 표시한 첫 지도다”라며 “이러한 조선 지리학의 전통에 바탕을 둬 1861년 탄생한 대동여지도는 지도제작의 금자탑을 쌓은 작품이다”라고 평가했다. 특히 “정확도, 상세함뿐만 아니라 지리지(地理志)의 성격을 갖춘 대동여지도는 김정호가 목판 60개로 제작한 것으로 추정되는데 이중 12개가 현존한다”라며 “11개는 국립중앙박물관에, 1개는 숭실대박물관에 있다”라고 설명했다.
최고참으로 참석한 신혜경(65 영문) 모교 일본문화학과 명예교수는 “안내메일을 볼 때마다 참석하려고 벼르다 이제야 처음 참석한다”라며 “뛰어난 식견과 훌륭한 강의에 대단히 만족한다”라고 말했다.
글·사진=이창섭(84 국문) 사무국장
참석자들은 오후 2시 40분 박물관 로비에 모여 △흙으로 빚어진 토기와 신앙 △조선시대 지리학과 대동여지도 등에 대해 전문가가 해설하는 현장강의를 들었다. 5시부터는 박물관 3층 전통찻집에 모여 담소하며 경품을 추첨했다.
첫째 강의는 질문과 답변이 오가는 가운데 흥미진진하게 진행했다. 동문들은 빗살무늬가 한반도에서 동일하게 나타나는지, 빗살무늬가 흉내 내거나 표현하는 건 무엇인지 등을 질문했다. 이어 △3세기 오리모양 토기 △흙으로 제작해 불에 구운 불상(북한 원효리 소조불) △백제 기와 △신라의 토우(土偶) 붙은 항아리와 말 탄 사람 토기(기마인물형 토기) △고려청자와 칠보무늬 향로 △조선의 청화백자, 철화백자, 달항아리 등을 감상하고 탐구했다.
둘째 강의는 박물관에서 근무하는 장상훈(87 사학) 학예사가 맡아 조선시대 지도에 관해 상세하게 설명했다. 장 동문은 “가장 오래된 지도인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1402년)는 아시아, 아프리카, 유럽을 포함한 구대륙에서 조선의 위치를 표시한 첫 지도다”라며 “이러한 조선 지리학의 전통에 바탕을 둬 1861년 탄생한 대동여지도는 지도제작의 금자탑을 쌓은 작품이다”라고 평가했다. 특히 “정확도, 상세함뿐만 아니라 지리지(地理志)의 성격을 갖춘 대동여지도는 김정호가 목판 60개로 제작한 것으로 추정되는데 이중 12개가 현존한다”라며 “11개는 국립중앙박물관에, 1개는 숭실대박물관에 있다”라고 설명했다.
최고참으로 참석한 신혜경(65 영문) 모교 일본문화학과 명예교수는 “안내메일을 볼 때마다 참석하려고 벼르다 이제야 처음 참석한다”라며 “뛰어난 식견과 훌륭한 강의에 대단히 만족한다”라고 말했다.
글·사진=이창섭(84 국문) 사무국장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