릴레이편지 -진수미(70.신방) 교수에게 > 동문소식

본문 바로가기


HOME > 새소식 > 동문소식
동문소식
동문소식

릴레이편지 -진수미(70.신방) 교수에게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04-10-25 17:10 조회13,008회 댓글0건

본문

진수미(70 신방) 교수에게

 

편안하신지요? 얼마 전 전화를 받고, 참 반가웠습니다. 어설픈 일처리로 미안한 마음이었는데, 오히려 위로를 해주어 고맙습니다. 마침 정훈한테 공개적인 릴레이 편지를 받고 이런 저런 대학시절을 떠올리고 있을 때였습니다. 훈이 말대로 저를 생각해주는 사람들은 많은데, 그 값을 못하다보니 마음만 무겁습니다. 이제 주제넘은 짓은 그만하고 그저 밥이나 잘 먹고 살았으면 좋겠는데 여전히 밥보다는 술을 더 많이 먹고 삽니다. 

 

고마운 동기들한테는 그냥 개기기로 하고 선배로서 친구처럼 도와주시는 최창섭 교수님께 용건 있을 때만 찾아뵙는 잘못을 비는 편지를 쓸려고 망설이던 참에 진교수의 전화를 받았습니다. 역시 동기들 생각이 더 많이 떠오릅니다. 저는 고등학교를 못 다닌 탓에 그냥 모이는 친구들이라고는 대학 동기들뿐입니다. 

 

서강대 신문방송학과! 저로서는 별난 인연인 것 같습니다. 중학을 졸업하고 무교동에서 깡패 똘마니를 하다가, 경기도 마석 보광사에서 불목하니 생활을 하고 있을 때였습니다. 스무 명 남짓의 대학생 남녀들이 캠핑을 왔는데 스님이 땔감과 된장 등을 가져다주라고 했습니다. 비슷한 또래라서 그랬는지, 제가 먼저 물어봤는지는 잘 모르겠는데, 서강대학교 신문방송학과 1회생이라는 것. 그런데, 연극도 하고, 드라마도 만들고, 영화촬영도 한다는 것이었습니다. 그것도 남녀가 함께... 그때만 해도 저는 여자들은 이화, 숙명 아니면 남자들이 다니는 대학의 음대나 미대에만 다니는 줄 알고 있었습니다. 

 

무조건 대학에 가야겠다고 결심을 하고 검정고시를 거쳐, 69학번 신방과 2회 선배들과 함께 시험을 쳤습니다. 100개쯤 나온 영어 문제를 17개인가 풀고 있는데 끝나는 종이 울렸습니다. “제5항, 답이 없다.”가 문제를 일으킨 것이지요. 교과서를 제대로 보든가 쉬운 회화책이라도 봤어야 했는데... 떨어지고 나니 얼마나 억울했던지 1회 선배들 원망도 했었습니다. 

 

어쨌든 저는 그 다음해 70학번 신방과 3회생이 되었고 우리 산동네에서는 최초의 대학생이 나왔다고 잔치가 벌어졌습니다. 그렇지만 입학하자마자 가장 중요한 게 어긋나기 시작했습니다. 여학생들과는 도대체 말을 할 수가 없었습니다.(저 말고도 또 있었나?) 어느 날인가 강의실에 들어서니 진수미가 혼자 빨간 가죽(?)옷을 입고 앞줄에 앉아 있었습니다. 머뭇거리며 옆에 앉아도 좋으냐고 물었는데 아무 말 없이 딴 자리로 가버렸습니다. 

 

그 후 저는 여자들하고는 데모도 같이 안하는 데모꾼이 되었습니다. 군대 갔다 와서는 구두닦이, 신문팔이, 종이 줍는 걸뱅이, 양아치 노릇을 했습니다. 자고 먹을 데가 없어서 시작한 것이지요. 그러던 중 어느 날 쓰레기장에서 분류작업 중에 발견한 단재 신채호 선생의 조선상고사를 읽고 다시 공부가 하고 싶어졌습니다. 아시다시피 저도 서강대 신방과를 분명히 졸업했습니다. 꿈속에서는 아직도 졸업을 못했습니다만. 8년 산 징역에 대한 꿈도 전혀 안 꾸는데 말입니다. 

 

참, 징역살이 시작한지 얼마 안 되었을 때였지요?! 진교수가 제 딸 여림이의 학비를 보내주었습니다. 무려 20년 전에 몇 번 본 기억뿐이 없는, 곁에 앉았다고 해서 딴 자리로 가버렸던 그 진수미가 말입니다. 다시 한 10년이 지나서 30년 만에 만나서 고맙다고 했더니 진교수는 자신의 어려웠던 유학시절 이야기만 했지요. 진교수가 대구로 돌아가는 길에 잠시 길안내 겸 동승했던 그때 처음 한번 뿐이지요? 우리가 서로 이야기를 나눈 것은? 이 또한 별난 인연인가... 아니지요. 사실은 우리 서강대 신방과 70학번 친구들이 지금도 나누고 있는 아름다운 마음씨 덕분에 생겨난 자연스러운 일 중의 하나였을 겁니다. 다음번 동기 모임에서는 꼭 보고 싶습니다. 건강하십시오. 

 

신방과 70학번 애물단지 장의균 드림.

 

장의균(70.신방) 동문은 역사연구가이자 출판인으로 현재 민족예술인총연하에서 남북문화예술 교류위원장을 맡고 있으며, 지난 1992년에 미국에 본부를 둔 인권단체인 Human Right Watch로 부터 'The Fund for Free Expression' 상을 수상한 바 있다.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7,152건 446 페이지
동문소식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477 초년병이야기-직장생활을 통해 느낀 3가지 목표 첨부파일 최고관리자 2004-10-26 12957
476 해외에서 온 편지-알제리인들 가난하지만 마음 넉넉 첨부파일 최고관리자 2004-10-26 18345
475 프라이스 신부 기념사업 발족 최고관리자 2004-10-26 12533
474 제1회 서강영화제 첨부파일 최고관리자 2004-10-25 11483
열람중 릴레이편지 -진수미(70.신방) 교수에게 첨부파일 최고관리자 2004-10-25 13009
472 편집위원레터-'자신만의 이야기' 담은 책 만들어 보자 첨부파일 최고관리자 2004-10-25 14132
471 다시듣는 은사님 명강의⑥ 김열규 국문과 교수 첨부파일 최고관리자 2004-10-25 14961
470 잊혀진 혁명가 정이형 첨부파일 최고관리자 2004-10-25 11413
469 이름없는 너에게 첨부파일 최고관리자 2004-10-25 13565
468 탐서주의자의 책 첨부파일 최고관리자 2004-10-25 11444
467 김명렬(78.사학) 동문 월간지 "통" 발간 최고관리자 2004-10-25 10721
466 의식 첨부파일 최고관리자 2004-10-25 11303
465 김호연 동문회장, '서강가족' 몽골 대통령과 만찬 최고관리자 2004-09-24 14833
464 동문회 홈페이지 개편업체 LH 선정 최고관리자 2004-09-24 12293
463 김호연 회장 프랑스 국가공로훈장 수상 2004-09-24 14707
게시물 검색

 

COPYRIGHT 2007 THE SOGANG UNIVERSITY ALUMNI ASSOCIATION ALL RIGHTS RESERVED
서강대학교총동문회 | 대표 : 김광호 | 사업자등록번호 : 105-82-61502
서강동문장학회 | 대표 : 김광호 | 고유번호 : 105-82-04118
04107 서울시 마포구 백범로 35 아루페관 400호 | 02-712-4265 | alumni@sogang.ac.kr | 개인정보보호정책 / 이용약관 / 총동문회 회칙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