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강의 출발-으뜸-자랑 A관을 말하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17-05-08 10:29 조회18,027회 댓글0건관련링크
본문
현대 한국 건축의 걸작, A관
건축가 김중업의 초기 대표작으로 손꼽혀
세계적인 건축거장 르코르뷔지에의 영향도
모교를 대표하는 건축물인 본관(A관)은 건축가 김중업(1922~1988)의 초기 작품으로, 1959년 11월 연건평 1266평, 4층으로 완공되었다. 본관 봉헌식은 1960년 5월 28일 노기남 주교 집전으로 예수회 위스콘신 관구장 번즈 신부, 장면 박사, 매카나기 주한 미국대사 등이 참석한 가운데 거행되었다. 본관 건물은 ‘서울시 건축상’을 수상했을 만큼 작품성을 인정받았다.
김중업은 우리나라 건축계의 1대 서구 유학파이자, 현대건축의 시작점으로도 손꼽힌다. 그는 ‘일본이라는 필터를 통해 이식되었던 근대건축이 서구로부터 직접 수입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연’ 건축가였다. 세계적인 거장 르코르뷔지에의 사무소에서 일하다가 1956년 2월 귀국한 김중업의 초기 작품으로는 모교 본관 외에 원자력 연구소·경주 국립공원·한국은행 신관·명보극장·부산대 본관·건국대 도서관 등이 있다.
이 가운데 모교 본관은 작품성 측면에서 손꼽히는 건축물이다. 노고산 능선에 평행하게 세워진 이 건물은 이전 작품과 달리 엄격한 비례, 면 분할, 지형과 조화되는 형태 구성이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았다. 전면에 튀어나온 기둥과 그 기둥 사이에 난 창들의 면 분할이 절제미를 보여주면서, 그 비례 효과로 건물이 고귀성을 자아낸다.
빛의 흐름을 느끼게 하는 정교한 계산
김중업은 본관 외에도 학교 전체 마스터플랜까지 의뢰받았지만 여러 사정으로 이뤄지지는 못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김중업은 실험동과 강의동도 설계했지만 그의 의도대로 실현되지는 않았다. 본관을 정면에서 볼 때 우측으로 보이는 격자 모양 외부 차양막은, 서향인 탓에 오후가 되면 건물 내부로 깊숙이 파고드는 햇빛을 막기 위해 설치됐다. 정교하게 계산된 차양막의 각도 때문에 내부에서 시시각각 빛의 흐름을 느낄 수 있다.
지붕도 치밀하게 계획되었다. 하늘로 치켜선 얕은 지붕을 각 기둥에 걸치듯 띄워서, 건물을 바라볼 때 시선이 분산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모교 본관에서 르코르뷔지에의 흔적을 볼 수 있다는 평가도 있다. 본관 입구 캐노피는 르코르뷔지에의 ‘유니떼 다비따시옹’의 서쪽 입구와 닮았고, 격자 모양 외부 차양막은 하버드대학 카펜터 센터의 영향이 보인다는 점에서다. 본관 내부에 들어서면 층고가 높다는 느낌을 받게 된다. 김중업은 한 층 높이를 410cm로 했는데, 이는 르코르뷔지에가 앵글로색슨인 신장에 맞춰 도출해낸 한 층 높이와 비슷하다고 한다.
화장실, 야외파티, 굴뚝으로도 기억되는 A관
본관 뒤쪽 발코니에는 열주들이 발코니를 뚫고 위쪽으로 솟아 있다. 그런데 이 열주 기둥들과 돌출한 발코니는 그 사이에 어떤 결구(結構)도 없이 교차되어 있다. 요컨대 발코니들은 기둥에 힘이 걸리지 않고 벽체에서 돌출한 보에 의해 지지된다. 일종의 착시효과를 자아내는 것인데, 이것은 르코르뷔지에가 즐겨 구사한 구조에 대한 의도적 반발이라는 평가도 받는다. 스승의 스타일에 영향 받으면서도 독자적인 건축세계를 구축해나가는 노력을 엿볼 수 있다.
한편 많은 동문들의 추억 속 본관에서 빼놓을 수 없는 게 화장실이다. 당시 국내 대학 중 최초이자 유일한 수세식 화장실 덕분이다. 두루마리 휴지가 귀했던 그 시절, 늘 부족함 없이 휴지가 채워져 있는 본관 화장실은 큰 자랑거리였다. 여학생들은 2층 여학생 화장실 의자에 앉아 점심 도시락을 먹는 경우도 많았다.
본관 옥상에서 파티가 열리기도 했다. 신입생 환영파티는 물론 주말이면 종종 교수와 학생들이 바비큐 파티를 열어 초기 서강의 큰 특징인 ‘교수-학생의 친밀한 공동체’를 만들어갔다. 1960년 11월 말 완공된 본관 굴뚝은 1994년 10월 2일 철거된 뒤에도 많은 서강인들의 기억 속에 남아 있다.
건축가 김중업(1922~1988)과 주요 작품
김중업은 1922년 평양에서 태어나 평양고보를 거쳐 요코하마 고등공업학교에서 건축을 전공하여 1941년 수석으로 졸업한 뒤, 광복 이후 월남하였다. 세계적인 건축가 르코르뷔지에의 건축연구소에 입소, 1955년까지 3년 간 사사받았다. 1956년 2월 귀국하여 건축사무소를 열었다. 김중업은 정부의 도시개발·건축 시책을 비판하다가 1971년 프랑스로 강제출국 당했다. 1975년 미국으로 건너가 로드아일랜드 디자인학교, 하버드 건축대학원 객원교수로 활동했다. 1978년 11월 귀국하여 활동하다가 1988년 세상을 떠났다.
1956년 부산대 본관(現 인문관), 건국대 도서관(現 언어교육원)
1958년 서강대학교 본관
1960년 주한 프랑스 대사관(서울 서대문구 합동)
1965년 제주대학교 본관(1996년 5월 철거)
1969년 삼일로 빌딩(서울 종로구 관철동)
1979년 한국교육개발원 신관(서울 서초구 우면동)
1981년 육군사관학교 육사박물관(서울 노원고 공릉등)
1982년 부산 충혼탑(부산중앙공원), 욱일빌딩(서울 신문로)
1985년 평화의 문(서울 올림픽공원 입구)
건축가 김중업의 초기 대표작으로 손꼽혀
세계적인 건축거장 르코르뷔지에의 영향도
모교를 대표하는 건축물인 본관(A관)은 건축가 김중업(1922~1988)의 초기 작품으로, 1959년 11월 연건평 1266평, 4층으로 완공되었다. 본관 봉헌식은 1960년 5월 28일 노기남 주교 집전으로 예수회 위스콘신 관구장 번즈 신부, 장면 박사, 매카나기 주한 미국대사 등이 참석한 가운데 거행되었다. 본관 건물은 ‘서울시 건축상’을 수상했을 만큼 작품성을 인정받았다.
김중업은 우리나라 건축계의 1대 서구 유학파이자, 현대건축의 시작점으로도 손꼽힌다. 그는 ‘일본이라는 필터를 통해 이식되었던 근대건축이 서구로부터 직접 수입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연’ 건축가였다. 세계적인 거장 르코르뷔지에의 사무소에서 일하다가 1956년 2월 귀국한 김중업의 초기 작품으로는 모교 본관 외에 원자력 연구소·경주 국립공원·한국은행 신관·명보극장·부산대 본관·건국대 도서관 등이 있다.
이 가운데 모교 본관은 작품성 측면에서 손꼽히는 건축물이다. 노고산 능선에 평행하게 세워진 이 건물은 이전 작품과 달리 엄격한 비례, 면 분할, 지형과 조화되는 형태 구성이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았다. 전면에 튀어나온 기둥과 그 기둥 사이에 난 창들의 면 분할이 절제미를 보여주면서, 그 비례 효과로 건물이 고귀성을 자아낸다.
빛의 흐름을 느끼게 하는 정교한 계산
김중업은 본관 외에도 학교 전체 마스터플랜까지 의뢰받았지만 여러 사정으로 이뤄지지는 못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김중업은 실험동과 강의동도 설계했지만 그의 의도대로 실현되지는 않았다. 본관을 정면에서 볼 때 우측으로 보이는 격자 모양 외부 차양막은, 서향인 탓에 오후가 되면 건물 내부로 깊숙이 파고드는 햇빛을 막기 위해 설치됐다. 정교하게 계산된 차양막의 각도 때문에 내부에서 시시각각 빛의 흐름을 느낄 수 있다.
지붕도 치밀하게 계획되었다. 하늘로 치켜선 얕은 지붕을 각 기둥에 걸치듯 띄워서, 건물을 바라볼 때 시선이 분산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모교 본관에서 르코르뷔지에의 흔적을 볼 수 있다는 평가도 있다. 본관 입구 캐노피는 르코르뷔지에의 ‘유니떼 다비따시옹’의 서쪽 입구와 닮았고, 격자 모양 외부 차양막은 하버드대학 카펜터 센터의 영향이 보인다는 점에서다. 본관 내부에 들어서면 층고가 높다는 느낌을 받게 된다. 김중업은 한 층 높이를 410cm로 했는데, 이는 르코르뷔지에가 앵글로색슨인 신장에 맞춰 도출해낸 한 층 높이와 비슷하다고 한다.
화장실, 야외파티, 굴뚝으로도 기억되는 A관
본관 뒤쪽 발코니에는 열주들이 발코니를 뚫고 위쪽으로 솟아 있다. 그런데 이 열주 기둥들과 돌출한 발코니는 그 사이에 어떤 결구(結構)도 없이 교차되어 있다. 요컨대 발코니들은 기둥에 힘이 걸리지 않고 벽체에서 돌출한 보에 의해 지지된다. 일종의 착시효과를 자아내는 것인데, 이것은 르코르뷔지에가 즐겨 구사한 구조에 대한 의도적 반발이라는 평가도 받는다. 스승의 스타일에 영향 받으면서도 독자적인 건축세계를 구축해나가는 노력을 엿볼 수 있다.
한편 많은 동문들의 추억 속 본관에서 빼놓을 수 없는 게 화장실이다. 당시 국내 대학 중 최초이자 유일한 수세식 화장실 덕분이다. 두루마리 휴지가 귀했던 그 시절, 늘 부족함 없이 휴지가 채워져 있는 본관 화장실은 큰 자랑거리였다. 여학생들은 2층 여학생 화장실 의자에 앉아 점심 도시락을 먹는 경우도 많았다.
본관 옥상에서 파티가 열리기도 했다. 신입생 환영파티는 물론 주말이면 종종 교수와 학생들이 바비큐 파티를 열어 초기 서강의 큰 특징인 ‘교수-학생의 친밀한 공동체’를 만들어갔다. 1960년 11월 말 완공된 본관 굴뚝은 1994년 10월 2일 철거된 뒤에도 많은 서강인들의 기억 속에 남아 있다.
건축가 김중업(1922~1988)과 주요 작품
김중업은 1922년 평양에서 태어나 평양고보를 거쳐 요코하마 고등공업학교에서 건축을 전공하여 1941년 수석으로 졸업한 뒤, 광복 이후 월남하였다. 세계적인 건축가 르코르뷔지에의 건축연구소에 입소, 1955년까지 3년 간 사사받았다. 1956년 2월 귀국하여 건축사무소를 열었다. 김중업은 정부의 도시개발·건축 시책을 비판하다가 1971년 프랑스로 강제출국 당했다. 1975년 미국으로 건너가 로드아일랜드 디자인학교, 하버드 건축대학원 객원교수로 활동했다. 1978년 11월 귀국하여 활동하다가 1988년 세상을 떠났다.
1956년 부산대 본관(現 인문관), 건국대 도서관(現 언어교육원)
1958년 서강대학교 본관
1960년 주한 프랑스 대사관(서울 서대문구 합동)
1965년 제주대학교 본관(1996년 5월 철거)
1969년 삼일로 빌딩(서울 종로구 관철동)
1979년 한국교육개발원 신관(서울 서초구 우면동)
1981년 육군사관학교 육사박물관(서울 노원고 공릉등)
1982년 부산 충혼탑(부산중앙공원), 욱일빌딩(서울 신문로)
1985년 평화의 문(서울 올림픽공원 입구)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