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강대학교 생명과학과 김성룡 교수 연구팀, 식물 유래 ‘항체의약품’으로 유방암 치료제 ‘허셉틴’보다 우수한 효과 > 모교 소식

본문 바로가기


HOME > 새소식 > 모교 소식
모교 소식
모교 소식

서강대학교 생명과학과 김성룡 교수 연구팀, 식물 유래 ‘항체의약품’으로 유방암 치료제 ‘허셉틴’보다 우수한 효과

페이지 정보

작성자 서강동문장학회 작성일24-08-01 11:04 조회2,057회 댓글0건

본문

 

서강대학교 생명과학과 김성룡 교수 연구팀,

식물 유래 항체의약품으로 유방암 치료제 허셉틴보다 우수한 효과

- 바이오텍 분야 최고 권위지인 플랜트 바이오테크놀로지 저널(IF. 13.8)’ 게재 - 

 

항체의약품은 매년 전 세계 블록버스터 의약품 상위 10개 중 7~8개를 차지할 정도로 인류의 행복과 건강에 매우 중요한 의약품인데 이 중 Her2를 표적으로 하는 허셉틴 (Herceptin, Trastuzumab)10조원 가까이 판매되고 있다. 이러한 항체의약품은 높은 생장 효율과 항체 생산성으로 인해 CHO 등의 동물 세포가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인수 공통전염 바이러스 등에 취약하고 동물유래 성분 배지 사용 등 고가의 배양 및 정제 공정을 통하여 생산하고 있어 매우 높은 약가로 판매되고 있다.

 

항체의약품은 단순한 재조합 단백질이 아닌 항체에 붙어있는 당질에 의한 종 특이적 면역반응이 매우 중요하여, 식물에서의 항체의약품 개발은 한계가 있었는데 본 연구로 당질공학을 이용하여 항체의약품 생산용 환경친화적이고 지속 가능한 식물기반 플랫폼을 개발하고, 이를 이용하여 생산약가를 대폭 낮출 수 있는 식물기반 HER2 표적 항체 생산용 세포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서강대학교(총장 심종혁) 생명과학과 김성룡 교수 연구팀이 식물 세포주(細胞株·생체 밖에서 배양을 계속할 수 있는 세포 집합체)‘PhytoRice®’를 이용해 항체의약품 허셉틴(성분명 트라스투주맙·TMab)’과 유사한 ‘P_TMab(허그린)’을 생산했다. PhytoRice®피토맵(대표 김성룡교수)이 유전자 편집 기술의 일종인 Crispr-Cas9을 적용한 벼 세포주며 여기에 TMab 항체 유전자를 도입하는데 성공하였을 뿐만 아니라, 합성된 P-TMab을 배양 배지로 배출시켜 정제를 간편화했다.

 0a09307e43de3eb461899b04c32b4ef7_1722477655_8373.png
  ▲ PhytoRice에서 생산된P-TMab의 당질구조분석

 


이어 김성룡 교수는 윤혜원 서울대병원 핵의학과 교수, 줄리앙 마 영국 런던대 치과대 교수등과 P_TMab(허그린)과 TMab(허셉틴)의 효능을 비교 분석했다. 트라스투주맙(TMab)은 HER2 양성(+) 유방암 등의 암세포 표면에 있는 HER2에 결합해 암세포를 죽이는 메커니즘을 갖고 있다. 연구팀은 우선 P_TMab과 TMab을 질량 분석법 등을 통해 서열과 구조가 동일하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이어 P_TMab과 TMab이 암세포 수용체인 HER2와 얼마나 잘 결합하는지와 암세포 사멸을 분석한 결과, P-TMab이 TMab과 동일한 메커니즘으로 암세포 증식을 억제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HER2 결합 정도에서는 1μg/mL 이상 농도 조건에서 P_TMab이 TMab보다 20%

정도 더 높았다. 항체 의존 세포 독성(antibody-dependent cellular cytotoxicity·ADCC)을 통해 암세포를 죽이는 효과에서는 P-TMab(EC50 값 17 ng/mL)이 TMab(45ng/mL)보다 2.7배가량 높았다.

 

 0a09307e43de3eb461899b04c32b4ef7_1722477785_878.png 

 ▲ P-TMab의 향상된 효능. (A) BT-474 cell을 이용한 CCK assay. (B) in vitro ADCC assay (C) 마우스모델에서 항체의 Biodistribution 분석.

 김성룡 교수는 “본 연구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다양한 생명현상을 이용한 융·복합적 연구개발을 위한 성공적 모델로 삼고자 하며 PhytoRice에서 생산된 트라스투주맙을 이용하여 식물 세포주에서 생산된 항체의 효능을 확인함으로써 ‘식물의 CHO 세포’인 ‘PhytoRice’ 개발에 참여한 것에 대한 자긍심을 갖고, PhytoRice 세포주를 전 세계 연구자들에게 제공하여 항체 개발에 이바지하고자 한다”라고 전하며 “한편 P-TMab을 ADC로 확장하여 차세대 표적 신약으로의 가능성을 탐색하고, GMP 생산 및 전임상/임상 시험을 위한 국가연구과제지원 및 투자유치를 진행하고자 한다”라고 밝혔다. 

0a09307e43de3eb461899b04c32b4ef7_1722477985_5881.jpg
▲ 서강대학교 생명과학과 김성룡 교수 

한편, 연구 결과는 바이오텍 분야 최고 권위지인 ‘플랜트 바이오테크놀로지 저널(IF. 13.8)’ 7월 호에 실렸다.

▶논문 제목: Enhanced efficacy of glycoengineered rice cell‐produced trastuzumab. Plant Biotechnol J. 2024 Jul 17. doi: 10.1111/pbi.14429. PMID: 39016470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1,826건 3 페이지
모교 소식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1796 서강대학교 메리홀, “경계를 허문 춤의 대제전” 무대 마련 최고관리자 2024-12-13 1261
1795 서강대와 함께 하는 ‘우리 가족 AI 예술가’ 캠프 참가자 모집 최고관리자 2024-12-09 1423
1794 서강대학교 제17대 총장에 심종혁 신부 연임 최고관리자 2024-12-06 1796
1793 서강대학교 바이오계면연구소, 미세전류를 이용한 피부 재생 콜라겐 전달체 개발 최고관리자 2024-12-03 1369
1792 ‘2024 서강경제대상’에 이영훈 교수·유동열 회룡건설 대표 선정 최고관리자 2024-11-25 1491
1791 서강대학교 지암남덕우경제연구원 하반기 국내정책세미나 성료 최고관리자 2024-11-25 1355
1790 서강대학교 LINC 3.0사업단, ‘2024 LG-서강대 산학교류 특강’ 성료 최고관리자 2024-11-21 1557
1789 류진 한국경제인협회/풍산그룹 회장, 서강대에서 청년을 위한 특별 강연 최고관리자 2024-11-19 1584
1788 [응답하라, 서강] 동문의, 동문에 의한, 동문을 위한 (by 전자공학과 동문회, 화학과 동문회) 최고관리자 2024-11-15 2042
1787 서강대학교 故 장영희 교수, 서울대교구 기림미사 봉헌 최고관리자 2024-11-14 2090
1786 서강대학교, 제14회 서강청년영화제 개최 최고관리자 2024-11-12 1403
1785 서강대학교, AI기업 업스테이지와 함께 ‘LLM 프로젝트’ 개최 최고관리자 2024-11-07 1451
1784 서강대-일본 조치대, 2024 SOFEX100 학술문화 행사 성료 최고관리자 2024-11-05 1616
1783 서강대 산학협력단, ASEAN 대학과의 STEAM 교육 협력 네트워크 발족 최고관리자 2024-10-28 1690
1782 서강대 메타버스전문대학원, GMC·KMF·XR 페스티벌 참가 메타버스 혁신 선도 최고관리자 2024-10-25 1698
게시물 검색

 

COPYRIGHT 2007 THE SOGANG UNIVERSITY ALUMNI ASSOCIATION ALL RIGHTS RESERVED
서강대학교총동문회 | 대표 : 김광호 | 사업자등록번호 : 105-82-61502
서강동문장학회 | 대표 : 김광호 | 고유번호 : 105-82-04118
04107 서울시 마포구 백범로 35 아루페관 400호 | 02-712-4265 | alumni@sogang.ac.kr | 개인정보보호정책 / 이용약관 / 총동문회 회칙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